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코치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치올 생각 파트너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조직 효과성 진단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조직코칭
- 이석재 코치
- 원하는 결과
- 코칭방법론
- 코칭이란 무엇인가
- 팀효과성진단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팀 효과성 진단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
Archives
- Today
- Total
미위마인드
저자와 작가의 경계 본문
박 코치님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페북에 올렸습니다.
"작가를 작가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나는 궁금한 주제이기도 해서 이렇게 댓글을 달았죠.
"창의적으로 책을 쓰는 사람은 책의 저자이면서 작가일 수 있겠네요. 그러나 작가는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예술성’을 작품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창작성’을 발휘한 어떤 저자는 작가일 수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도 궁금하다.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1979년 교내 학술논문대회에 응모하고(동상), 1981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에 학술논문을 처음 게재한 이후 지금까지 많은 정책연구보고서와 저술, 국내외 학술논문(SSCI) 기고와 발표, 다수의 책 출간을 했죠. 글과는 오랜 친구처럼 지냈지만 나는 '작가'라고 명명하지 못했습니다. 진심으로 사용해 보고 싶었는데 말이죠. 어쩌면 작가라고 썼다가 지웠을지도 모르죠. 박 코치님의 질문을 보고 나의 장기기억에 있는 질문을 떠올렸습니다.
"저자와 작가의 경계는 무엇인가?"
나는 ‘코칭은 과학으로 다듬은 예술이다’라고 외쳤죠(현장중심 코칭심리학 310쪽). 몇 년 전부터 사용한 나의 코칭 슬로건입니다. 그렇다면 코칭을 하고 관련 책을 쓴 나는 이제 작가인가? 그러나 작가는 내가 추구하는 정체성이 아니죠. 저자와 작가의 경계에 정체성이 있느네요. 또 무엇이 있을까?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코칭단상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 세미나(캐나다지부): 질문과 피드백 (0) | 2023.09.27 |
---|---|
프레임워크기반 코칭 (0) | 2023.09.11 |
사회심리학자가 본 코칭 리더십 (0) | 2023.09.02 |
코칭학 판짜기 (0) | 2023.08.21 |
코치의 언행일치 과제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