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 효과성 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방법론 공부방
- Ela
- 원하는 결과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팀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조직코칭
- 팀 효과성 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워크북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효과성 코칭
- 상담 사례개념화
- 코칭심리학 책 쓰기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효과성코칭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이석재 코치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Today
- 0
- Total
- 16,057
목록참고자료/코칭단상 글쓰기 (106)
미위마인드

욱하는 감정 처리를 하는 이면에는 복잡한 사람의 심리가 있다. 그중에 하나는 상황을 통제하려는 정신 통제이다. 정신을 통제한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면, 주의를 집중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심리이다. 조직에서 리더 역할을 맡는 사람, 성과 지향적인 사람, 완벽주의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의 내면에는 통제의 심리가 있다. 이러한 심리가 병리적으로 나타난다면, 강박적인 사고가 된다. 통제의 심리학 통제 심리가 강한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목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바람직한 모습에 대한 생생한 심상이 있다. 인지적으로 뿐만 아니라 감각적으로 원하는 결과에 대한 모습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사람은 현재 자신의 모습에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의 모습을 비교하게 된다. 다시 말해 두..

현재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1기 공부방이 진행 중이죠. 벌써 3주차를 마쳤습니다. 10주차로 진행되는 공부방이고 일반 공부방의 내용과 달리 사례분석관련 대화가 섬세합니다. 참가자분들과 3차를 진행하면서 워크북을 만들 것인가에 대해 계속 고민했습니다. 장고 끝에 악수를 둘 가능성 높기 때문에 일단 만들기로 했습니다. 글로 쓰려니 무척 어렵네요. 아마 9월 말이면 마칠 것도 같습니다. 원래 코칭심리학 책을 쓰고 싶은데 소중한 것 먼저하기를 선택했습니다. 이미 작성한 코칭심리학 워크북과 증거기반코칭 워크북, 그리고 코칭사례분석 워크북. 이렇게 세 권의 워크북이 모이면 코칭심리학 책이 될 듯 싶으네요. -생각 파트너 이석재 7월 18일 10주로 진행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의 모든 학습 내용을 워크북 양식에..

돌잔치를 할 때 통과의례가 있다. 바로 주인공 앞에 돌잡이 용품을 올려 두고, 무엇을 손에 잡는지를 보는 것이다. 이때 필수로 들어가는 용품은 실타래와 돈이다. 그다음은 부모가 원하는 소품을 놓는다. 실타래는 장수를 뜻하고, 돈은 부귀영화를 뜻한다.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 다닐 때면, 집안 식구들이 커서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묻는다. 부모와 주위 친족의 기대와 열망이 담긴 질문이다. 이때 되고 싶은 사람에 대한 평가 기준은 사회적 평판과 인식이다. 아이의 선택과 답이 이루어지길 참석자들은 소원한다. 이제 주인공이 성장하면서 주위 사람들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성장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성년이 되어 자기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가끔 주저하기도 하지만, 비장한 마음으로 의례적인 질문을 한다. "나는..

삶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조직 내에서 리더로 성장하면서 흔히 갖는 고민은 일과 삶의 균형, 성과doing와 존재being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 여성 팀장은 육아의 문제는 거의 벗어났지만 여성이라는 존재감과 성과를 내야 하는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이 늘 갈등이었다. 갈등이 느껴질 때면 팀장의 마음은 늘 떠돌았다. 너무 많은 생각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방황했다. 그는 팀장 경력과 연차가 쌓이면서 임원으로 승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고, 내심 더 성장하고 싶었다. 과연 여성 리더로서 역할을 잘 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어느 화창한 날 팀장과의 첫 미팅이 이루어졌다. 삶의 목적에 대한 성찰 나는 팀장과 삶의 목적을 정하는 대화를 나눴다. 그동안의 대화에서 그는 선한..

삶을 보는 시선 삶에 두 영역이 있다. 하나는 시선을 밖에 두었을 때 만나는 영역이다. 사람들이 원하는 결과를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실행 doing 영역이다. 다른 하나는 시선을 자기 내면으로 향했을 때 만나는 영역이다. 사람들이 실행의 삶을 구상하고 이루어가는 주체로서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존재 being 영역이다(이석재, 2018; 2020) 사람들의 삶은 실행과 존재의 줄타기로 이루어진다. 실행의 삶을 중심으로 사는 사람은 자기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지금 나는 무엇을 하는가?"를 질문한다. 존재의 삶을 중심으로 사는 사람은 자기 자신의 실체를 탐구하기 위해 "지금 나는 누구인가?"를 질문한다. 어떤 사람은 두 삶의 균형을 잡기 위해 "지금 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를 질문한다..

사람들은 자신을 포함해 타인과 환경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려고 하며, 그 과정을 통해 학습하고 성장한다. 임원 후보군을 대상으로 한 코칭에 만난 팀장은 회사 생활에 몰두하느라 자기만의 시간을 갖지 못했다. 그는 어느 순간 자신의 삶에 의문을 던졌다. 도대체 내가 무엇을 위해 이렇게 바쁘게 살고 있는가? 물론 질문에 대한 답은 가지고 있다. 회사로부터 인정받고 승진하고 주위 사람들로부터 존중받고 싶다. 가정에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만들고, 가족이 행복한 삶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다. 팀장은 외부의 요구에 맞추는 삶에 지쳤을 때 늘 마음이 떠돌았다. 실행(doing)은 있지만, 존재(being)는 없는 삶 그는 어느 순간부터 자신이 원하는 가족의 모습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자녀들의 학교생..

미국과 캐나다, 유럽의 동서남북 주요 국가들을 여행하면서 우리의 주택 구조와 뚜렷한 차이를 확인했다. 나는 가옥 구조의 차이에 문화적 정서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가끔 대학원에서 사회심리학 강의를 하거나 기업체에서 대인관계와 소통 강의를 할 때 소재로 삼았다. 서양 가옥에는 없고 동양 가옥에 있는 것은 무엇일까? 특히 한옥의 전형적인 가옥에 있다. 어떤 점이 차이점일까? 이 에피소드는 학교와 기업에서 강의를 시작할 때부터 사용했으니 20년은 지났을 것이다. 내 강의를 들은 수강생이라면 기억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코칭 강의를 할 때 또는 인사평가 면담 강의를 할 때도 사용했다. 어떤 주제와 관련이 있는지를 지금부터 소개한다. 처마에 담긴 사회문화적 정서 대표적인 차이는 바로 처마이다. 서양의 경우 처마..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어떤 눈으로 볼 것인가? 이제 전통적인 강점과 약점의 이분법적인 논리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코칭적 시각에서 보면, 사람은 그 자체가 온전한 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효과성 코칭 Effectiveness Coaching에서 코치는 코칭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이 원하는 것을 얻는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효과성 코칭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행동을 촉진시키는 영향요인을 강점으로 정의한다. 약점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결정적 행동을 방해하는 영향요인이다. 기존에 자신의 약점이라고 생각했던 것을 다시 들여다보면, 그 약점이 강점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약점을 강점으로 승화시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