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조직효과성진단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워크숍
- 조직코칭
- 코칭이란 무엇인가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팀 효과성 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미위마인드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자기인식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 효과성 진단
- 원하는 결과
- 효과성 코칭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증거기반코칭
- Team Effectiveness Assessment
- 생각나눔과 교학상장
- 코칭방법론의 필요성과 효과적 활용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리더십 정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Ela
- Today
- 2
- Total
- 11,943
목록코칭단상 글쓰기 (83)
미위마인드

삶의 다양성은 곧 사람들이 자신의 고유함을 가치 있게 드러내는 길을 제공하죠. 자신의 고유함에 묶이다 보면 시선이 자기 자신에게만 집중하기 쉽습니다. 달리 말해 그것을 가치 있게 발휘하도록 돕는 환경의 소중함을 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고유함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심을 갖는 노력도 함께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의 고유함에 사회적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발휘하여 사회적 기여를 하는 것입니다. 나의 고유함뿐만 아니라 사회의 고유함, 우리 문화의 고유함으로 그 시선과 인식을 넓히는 것입니다. 한 예로 K-culture는 바로 우리 문화의 고유함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의 고유함을 넘어 사회문화의 고유함으로 의식확장, 우리 삶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지난 2002년 코칭을 시작한 후 2010년 11월 1일 코치올(Coachall, www.coachall.com)을 세우고 이제 만으로 11년이 지나네요. 2011년 초 홈페이지를 만들고 CI를 소개했던 자료를 보니 마음이 찡합니다. 당시 닉네임이 강점코치, 지금은 코치의 미래 역할을 반영한 생각 파트너입니다. 그간 코치올에 깊은 관심과 사랑, 응원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덕분에 효과성 코칭과 방법론을 만들고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팀효과성진단(TEA), 조직효과성진단(OEA)을 통해 개인과 팀, 조직의 효과성을 연계하는 통합적 코칭을 전개해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은 '코칭은 과학으로 다듬은 예술이다'는 신념으로 코칭심리학과 코칭방법론, 증거기반코칭에 대한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과거의 눈으로 현재와 미래를 보지 않고, 미래의 눈으로 현재와 미래를 봅니다. 코치올의 효과성 진단시스템은 내년 상반기에 지원이 중단되는 MS의 익스플로러11에 대응해 구글의 크롬과 MS의 엣지, 애플의 사파리 웹 브라우저에서 작동하도록 업그레이드를 마쳤습니다. 진단시스템의 호환성과 기능성, 보안성과 이용자 편의성을 향상시켰습니다. 앞으로 구글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합니다. 코칭도 마찬가지입니다. 과거의 관점을 과감히 털어내고 새로운 관점에서 현재의 코칭을 봅니다. 그 관점은 바로 미래입니다. “당신에게 미래란 무엇입니까? 구체적으로 미래의 관점이란 무엇입니까? 그것은 현재에 어떤 변화를 요청합니까?”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이렇게 자문해 본다. “내가 지금까지 한 것은 내게 무엇을 말하는가?”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소유에 대한 욕망은 그 끝을 모른다. 그 끝은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그 끝을 만들기 어렵다면 마음에 STOP 신호등을 만들어 사용해 보자.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코칭심리학공부방,#코칭방법론공부방,#증거기반코칭공부방,#효과성코칭워크숍

나이가 들수록 현실 지각이 면밀하고 명료하죠. 이렇다 보니 과거와 미래보다 현실이 갖는 정보를 깊게 지각하고 공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의미를 부여한 정보가 풍부하죠. 살고 보니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치열함에 치이기도 합니다. 생각의 프레임이 지금 이 순간에 토대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거와 미래에 대한 생각도 현실의 관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죠. 나이를 먹을수록 지금의 삶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mewemind.com

공부방 워크북을 만들 때 내용을 상세하게 채우지 않습니다. 공부 주제에 대해 빈 공간, 여백을 많이 남겨둡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공부방을 정보전달의 장으로 만들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공부방에 있는 모든 사람이 진솔한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생각과 성찰을 inside-out하도록 도우면 그 빈 공간은 쉽게 채워질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공부방을 운영하다 보면, 집단 역동(group dynamic)이 예상하지 못한 생각과 아이디어, 통찰이 끌어내지는 경험을 합니다. 저절로 질문이 떠오르고 저절로 답을 얻게 되죠. 생각 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할 때 느끼는 단맛입니다. 오늘도 '증거기반코칭 공부방'(evidence-based coaching)을 통해 그 여백을 채우는 기쁨을 누렸습니다. 오늘과 내일..

오늘은 한국코치대회에 참가하면서 '나를 돌아보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해요. 코치의 자격증, 코칭학의 발전을 위한 교과과정 등에 대한 발표와 토의를 들으면서 코칭의 발전을 기원하는 많은 분들의 노력과 생각을 알았거든요. 생활인으로서 코칭을 할 때 돈되는 프로젝트에 관심도 많았죠. 그 과정에서 효과성 코칭을 개발하고 나름 코칭의 틀(framework)과 방법론의 개발 필요성을 크게 느꼈지요. 올해 코칭심리학 공부방,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코칭방법론 공부방 등을 진행하는 동기이기도 합니다. 오늘 많은 분들이 비즈니스로서의 코칭 뿐만 아니라 '코칭이란 무엇인가?', '코치는 누구인가?', '지속 가능한 전문영역으로서 코칭산업을 어떻게 성장시킬 것인가?'... 또 코칭의 실행자이면서 연구자, 탐구자로서의 역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