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 노트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내 안에 우리 2025. 11. 1. 07:16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해서 인본주의적 시각에서 개발한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정: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구성하려는 동기를 가지며 효과성을 추구한다.

2. 효과성의 정의: 원하는 결과를 얻은 정도

3. 효과성 코칭의 정의: 개인과 조직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구조화된 목표지향적인 협력 활동이다.

4. 증거기반 코칭: 코칭 개입이 만드는 고객의 효과성 변화를 3가지 진단도구(ELA, TEA, OEA)를 활용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검증한다.

5. 효과성 코칭 설계: '변화요구 파악-변화목표 설정-행동변화 코칭-코칭성과 평가'로 구성한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The Theory and Practice of Effectiveness Coaching>

The essence of Effectiveness Coaching, developed from a humanistic viewpoint since I began coaching in 2002, is outlined below:

1. Assumption: People are motivated to proactively structure their lives and pursue effectiveness.

2. Definition of Effectiveness: The degree to which desired results are achieved.

3. Definition of Effectiveness Coaching: It is a structured, goal-oriented, collaborative activity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achieving their desired results.

4. Evidence-Based Coach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interventions is objectively measured and verified using three diagnostic tools (ELA, TEA, and OEA).

5. Effective Coaching Design: The plan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Identifying Change Needs - Setting Change Goals - Behavioral Change Coaching - Coaching Performance Evaluation."

-Suk-jae Lee, the thinking partner of "Me We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