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성 코칭의 특징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의 이론과 실제는 이석재 코치가 개발한 고유의 코칭 방법론으로, 코칭을 통해 고객의 '효과성'을 극대화하여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는 단순한 행동 변화를 넘어 내면의 성장을 함께 추구하는 통합적인 접근 방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1. 효과성 코칭의 이론적 토대
이석재 코치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은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는 가정에 기반합니다(이석재, 2014). 여기서 효과성은 목표 달성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가치로 정의됩니다. 이론은 다음과 같은 핵심 개념을 통해 구성됩니다.
- 효과성 코칭 모델: 목표지향적인 4단계 프로세스(변화 요구 파악 - 변화 목표 설정 - 행동 변화 코칭 - 코칭 성과 평가)를 통해 체계적인 코칭 활동을 전개합니다.
- 통합적 접근: 개인 효과성(ELA), 팀 효과성(TEA), 조직 효과성(OEA)을 별개가 아닌 상호 연관된 시스템으로 보고, 각 단계의 진단을 통해 조직 전체의 효과성 극대화를 목표로 합니다.
- 내면의 변화: 단기적인 행동 변화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내면의 '성장 엔진'인 3S(자기인식, 자기대화, 자기성찰)를 활성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2. 효과성 코칭의 실제 적용
이론적 토대는 실제 코칭 현장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됩니다.
- 진단 도구의 활용: 온라인으로 운영되는 객관적인 다면 진단 도구인 ELA(개인), TEA(팀), OEA(조직)를 사용하여 각 조직 단위의 효과성을 측정하고, 코칭 전후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합니다.
- 3S-FORM 코칭 모델: 코치는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FORM 코칭 프로세스를 따르고, 코칭 대상자는 내면의 변화를 위한 3S를 스스로 작동시킵니다. 이 두 가지 전략의 협력을 통해 코칭 효과를 높입니다.
- 협력적 파트너십: 코치는 일방적인 조언자가 아닌,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파트너' 역할을 수행합니다. 고객 스스로 자신의 잠재성을 변화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도록 돕는 협력 활동을 중시합니다.
3. 주요 참고문헌
이석재(2006). 18가지 리더십 핵심역량을 개발하라.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
이석재(2019).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서울: 와일드북.
이석재(2020). 코칭방법론. 서울: 한국코칭수퍼비전.
이석재(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
이석재(2024). 씽킹 파트너. 경기: 모아북스.
이석재.이종서(2025). 관점 전환. 서울: 박영스토리.
<영문>
The theory and practice of effectiveness coaching is a unique methodology developed by Coach Seokjae Lee, which focuses on maximizing a client's 'effectiveness' through coaching to help them achieve their desired results. It is characterized by an integrated approach that goes beyond simple behavioral change to also pursue internal growth.
1. Theoretical Foundation of Effectiveness Coaching
Effectiveness coaching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eople seek effectiveness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ir desired results in life." Here, effectiveness is defined as a key value that enhances the possibility of goal attainment. The theory is structured around the following core concepts:
- Effectiveness Coaching Model: A systematic coaching activity is developed through a goal-oriented 4-step process (identifying change needs - setting change goals - coaching for behavioral change - evaluating coaching outcomes).
- Integrated Approach: It views individual effectiveness (ELA), team effectiveness (TEA),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EA) not as separate entities but as an interconnected system, aiming to maximize overal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diagnostics at each level.
- Internal Change: It places importance on activating the 'internal growth engine,' the 3S (self-awareness, self-talk, self-reflection), for long-term growth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short-term behavioral change.
2. Practical Application of Effectiveness Coac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is implemented in the actual coaching field through the following methods:
- Utilization of Diagnostic Tools: Objective multi-rater diagnostic tools—ELA (individual), TEA (team), and OEA (organization)—ar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each organizational unit and quantitatively track changes before and after coaching.
- 3S-FORM Coaching Model: The coach follows the FORM coaching process to drive behavioral change, while the coachee activates the 3S for internal change.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se two strategies enhances coaching effectiveness.
- Collaborative Partnership: The coach acts as a 'partner' who helps the clien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ir desired results, rather than being a one-sided advisor. It emphasizes collaborative activity that helps clients use their own potential as the energy for change.
3. References
Sukjae Lee (2006). Develop 18 Core Leadership Competencies. Seoul: Kim & Kim Books.
Sukjae Lee (2014). Effectiveness Coaching by a Business Psychologist. Seoul: Kim & Kim Books.
Sukjae Lee (2019). Thought Revolution That Changes My Life. Seoul: Wildbooks.
Sukjae Lee (2020). Coaching Methodology. Seoul: Korea Coaching Supervision.
Sukjae Lee (2020). How to Use a Wandering Mind. Seoul: Plan B Design.
Sukjae Lee (2023). Field-Oriented Coaching Psychology. Seoul: Hakjisa.
Sukjae Lee (2024). Coaching Psychology Class for Boosting Execution. Seoul: Hakjisa.
Sukjae Lee (2024). Thinking Partner. Gyeonggi: Moa Books.
Sukjae Lee & Jongseo Lee (2025). Perspective Shift. Seoul: Parkyoung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