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칭 노트

효과성 코칭 프로세스

내 안에 우리 2025. 9. 12. 08:07

1. 효과성 코칭 모델(이석재, 2023)에서 코칭 고객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코칭 요구는 고객의 '변화 요구'입니다. 또 결과지향 코칭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 중의 하나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성장 요구와 관련 활동입니다. 변화 요구를 찾고 '결정적 행동과 원하는 결과'를 연결하는 것은 코칭의 효과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고객의 변화 요구를 리더십 진단(ELA)을 통해 찾고 효과성 코칭을 전개한 코칭 사례와 논리는 <씽킹 파트너> 책을 참고바랍니다..

모델 출처: 이석재(2023).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2. 생각 파트너의 일반적인 접근은 코칭 고객이 처한 맥락을 토대로 오른손-왼손 코칭 기술을 사용하죠. 이를 통해 코칭 고객(이하 고객)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실행(doing)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합니다. 이때 고객은 시선을 밖에 두고 있죠. 고객의 전두엽(뇌)이 활성 된 상태이며 평소 습관적인 문제해결 방식에 의존한 현실인식을 합니다.

<예시>

"이렇게 해 보시겠습니까? 다음과 같이 두 손을 나란히 내보십시오.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합니다. 현재 어떻게 성과를 만드십니까? 성과를 마드는 데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 하나를 선정해서 오른손에 올려놓으십시오."

3. 생각 파트너는 현재 상태를 탐색하도록 합니다. 고객은 떠오르는 생각을 생각 파트너와 공유합니다. 이어서 두 손에 올려진 삶의 주제가 자신의 몸통과 이미 연결되어 있다는 자각(알아차림)을 하도록 돕죠. 실행 중심(doing)의 방식을 존재 중심(being)으로 관점 전환을 돕는 것이죠. 이때 고객은 울림(resonance)을 경험합니다. 내적 심리변화입니다.

4. 생각 파트너는 그 울림을 관찰과 질문, 경청을 통해 간파하죠. 울림을 자기인식으로 정리하도록 요청합니다. 성찰의 기회를 갖도록 하죠. 이어서 성찰한 관점에서 당면한 과제(현실 인식의 내용)를 다시 보도록 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생각 파트너는 고객이 기존에 갖고 있던 인식 틀(frame)을 재구성(reframe)하도록 돕습니다. 이때 고객은 내면의 변화를 경험합니다. 초기 단계의 내적 인식전환(cognitive transformation)을 갖는 것이며 기존 멘털모델이 수정되는 것이죠.

 

5. 생각 파트너는 고객에게 이제 어떻게 당면 과제에 접근할 것인지를 묻습니다. 이 질문을 통해 고객이 인식 틀이 바뀐 눈으로 처음에 가졌던 당면 과제를 어떻게 보고 대응할 것인지를 주도적으로 생각하고 선택하도록 합니다. 선택의 주체는 고객이며 자기주도적으로 자신의 삶을 더 나은 결과를 만드는 방식으로 이끌어 가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효과성 코칭을 통해 고객은 기존의 문제해결(problem-solving) 중심의 접근을 해결중심(solution-focused)의 접근으로 바꾸죠. 이러한 접근을 통해 고객이 결과지향적인 행동변화를 주도하도록 돕습니다.

 

6. 생각 파트너의 효과성 코칭은 라이프코칭이나 조직코칭(리더십코칭, 비즈니스코칭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효과성 코칭에 관심 있다면, 아래에 소개한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책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위마인드 이석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