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코칭이란 무엇인가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코치올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팀 효과성 진단
- 조직효과성진단
- 조직코칭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 코칭방법론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효과성코칭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코치올 생각 파트너
- 조직 효과성 진단
- 효과성코칭워크숍
- 이석재 코치
- 팀효과성진단
- 원하는 결과
- 코칭심리학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증거기반코칭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Today
- Total
목록코칭이란 무엇인가 (4)
미위마인드

“코칭이란 무엇입니까?” 코치가 경험한 자신의 성공적인 코칭 사례를 통해 자기 자신 안에 있는 답을 찾아 보십시오. 밖에서 찾지 말고 자기 안에서 찾는 것입니다. 그 결과, “코칭이란 무엇입니까?” -코치올 생각 파트너 https://thinkingpartner.co.kr

기존의 학술이론을 기반으로 코칭을 한다고 해서 그 코칭이 증거기반은 아닙니다. 현재 하고 있는 코칭이 증거기반이어야 합니다. 이론은 현상 속에 존재하는 개념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진술이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를 통해 논리적 관계가 검증되면, 그 결과를 토대로 현상을 해석하고 예측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연구를 통해 보려는 현상입니다. 상담과 심리치료 관련 이론이 주목하는 사회 현상은 코칭과 같은 것일까요? 아니면 다른 것일까요? 만일 같다고 본다면, 코칭은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전문영역이죠. 이러한 관점을 취한다면, 코칭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차별성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러나 코칭이 주목하는 사회 현상이 상담과 심리치료와 다르다면, 코칭은 ..

이것 저것 생각하다가 문득 ‘코칭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의 영역과 다른 것이 아니라, 시대적 변화에 따라 나타난 두 전문 영역의 ‘다음 단계’를 보여주는 전조는 아닐까?’라고 생각했지요. 그래서 코칭의 차별성이 무엇이냐는 정체성 질문은 더 이상 하지않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코칭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히 살아있지요. ‘코칭심리학 공부방’의 역할에 가치를 더 부가한 아침입니다. 더 깊고 체계적으로, 현장코칭과 연계성을 더 높이도록 진행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아들러를 포함해 그 이후의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하는 심리학자들은 자신의 집무실을 박차고 나와 대중 앞에 서지요. 사람들이 삶에서 정신건강문제로 힘들어 할 때, 예전에는 심리치료사나 상담사라는 전문가를 만나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인본주의 심리학과 긍정심리학을 지지하는 심리학자들은 인간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주도적이며 자율적으로 통제하고 자기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인간 그 내면에 있다는 사실을 설파합니다. 인간은 자신의 삶을 주도하고 적극적으로 구상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대인은 이전보다 훨씬 자기 삶의 전면에 나설 수 있는 용기와 의지, 능력을 보입니다. 이러한 심리의 배경에는 대중과 소통했던 심리학자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지금 여기'에 집중하는 삶을 사는 방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