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조직 효과성 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원하는 결과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증거기반코칭
- 이석재 코치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효과성 코칭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워크북
- Ela
- 코칭심리학 책 쓰기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팀 효과성 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칭방법론 공부방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코칭심리학
- 효과성코칭
- 조직코칭
- 상담 사례개념화
- 팀효과성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Today
- 0
- Total
- 16,294
목록효과성코칭워크숍 (5)
미위마인드

오늘(9/24)로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명을 마지막으로 사용하고, 내일부터는 '효과성코칭' 과정명을 사용하죠. 지난 8년간 과정에서 만난 분들에게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그렇다고 과정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국내에 코칭이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국내 코칭환경과 코칭에 대한 요구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전파하기 위해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을 만들어 2015년부터 시작했죠. 이제는 코칭 환경 변화와 다양한 코칭 요구에 맞게 대응하고자 기존의 과정을 3개의 과정으로 세분화하고 내용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전파하기 위해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을 만들어 2015년부터 시작했죠. 이제는 코칭 환..

2015년 1월에 개설한 효과성코칭 프로그램, 어느덧 8년째입니다. 다음달 4월 22일~23일, 9:00-17:30에 효과성코칭방법론을 토대로 시스템적 코칭을 전개합니다. 또 리더의 리더십진단(ELA)과 그가 책임맡고 있는 조직에 대한 조직효과성진단OEA)을 사용한 ‘효과성 기상도분석’을 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개발(ID)과 조직개발(OD)을 연계하는 통합적 코칭을 소개합니다. 이번 ‘효과성코칭 워크숍’은 기존의 개인코칭과 조직코칭의 핵심을 도출해 개발한 과정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효과성코칭워크숍: https://mewemind.com/9 효과성 코칭 워크숍 등록 ● 효과성 코칭 워크숍 소개 효과성 코칭 워크숍은 이석재 박사(2014)가 개발한 효과성 코칭 방법론에 대한 학습과정입니다...

지난 2015년부터 효과성코칭의 학습과정으로 ‘효과성코칭워크숍: 개인코칭, 조직코칭(총30시간)’을 진행했습니다. 조직코칭의 경우 진단지를 3가지 다루면서 시간부족에 어려움을 겪었지요. 이제 공부방 참가자가 자신의 상황에 맞게 진단을 활용해 볼 수 있도록 기존 구성을 대폭 개편했습니다. 교육비도 저렴해졌고 대신 코치올의 진단지원 부담은 늘었습니다. 그러나 현장중심의 실전코칭을 지원한다는 면에서 공부방 참가자와 코치올이 모두 승승하는 결과입니다. 2015년부터 수집한 참가자의 피드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효과성코칭워크숍 (개인코칭, 조직코칭)’을 ‘1.효과성코칭워크숍(15시간)’, ‘2.팀장 그룹코칭 공부방(7시간)‘, '3.ELA디브리핑 공부방(7시간)’으로 재구성했습니다. 공부방의 내용은 효과성..

석박사 학위를 하면서 공통적으로 다룬 연구 주제는 신념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태도, 고정관념, 규범 등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심리기제로 사람들의 공격적 행동, 약물 중독, 아동 폭력, 학교 폭력, 가정 폭력, 성범죄 등의 사회 문제를 풀려고 했지요. 지금은 코칭을 하면서 리더의 행동변화를 다루죠. 효과성 코칭을 통해 내 열망의 일부를 펼쳐 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50대에 일중심의 삶을 살았다. 아침 8시에 임원코칭을 시작해 오전에 2번의 코칭미팅, 오후에 3~4번의 코칭 미팅을 가졌다. 새벽 기차와 비행기를 즐겼다. 강의와 과정개발로 촌각을 다투었다. 주위 분들이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분들의 도움 덕에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다. 정신없이 일하던 어느 날 코칭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된 실수를 했다. 그때부터 코칭에 집중하기 위해 코칭 이외의 활동을 단계적으로 손 놓았다. 핵심인재 선발과 육성, 민간과 공공기관 면접위원 활동, 과정개발워크숍, 인재채용모델개발과 적용, 조직문화 진단과 조직개발, 리더십진단도구개발 프로젝트, 역량모델링, 교육체계수립워크숍 등을 모두 손 놓았다. 오직 코칭과 진단, 두 가지만 남겨두었다. 그러나 마음속에서 수입이 좋은 H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