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과성 코칭 이론과 실제
- 공동감각과 공동체감
- K-CULTURE
- 고유함의 확장
- 의식 확장
- 생각 파트너 이석재 프로필
- Alfred Adler
- 미위마인드미
- 관점 전환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프레임워크
- 미위마인드
- MEWEmind.com
- mewemind
- 이석재 코치
- 개인적 관심에서 사회적 관심
- 저술과 학술 연구
- 관점 코칭
- 사회적 가치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사회적 기여
- 알프레트 아들러
- 나에서 우리로 의식 확장
- Today
- Total
목록2025/09/11 (4)
미위마인드

이석재 Ph.D., PCC, CPCC코칭과 리더십 전문가로서의 활동과 학술연구지금까지 연구 활동으로 작성한 저서와 역서, HR 전문지 기고의 글, 국내외 학술논문, 학회와 세미나 발표논문, 정책보고서입니다. 저서 이석재・이종서(2025). 관점 전환. 서울: 박영스토리.이석재(2024). 씽킹 파트너. 경기:모아북스.이석재(2024).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 서울: 학지사.이석재(2023). 현자중심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이석재(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 서울: 플랜비디자인.이석재(2020). 코칭방법론. 서울: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이석재(2019).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서울:와일드북.이석재(2014).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서울: 김앤김북스.이석재(2006..

코칭 펌인 코치올(Coachall) 대표 코치이며, 전문코치 1세대로 23년 이상 개인과 조직의 성공을 돕고 있다. 이를 위해 ‘효과성 코칭 이론’을 창안하고, 이론과 검증을 바탕으로 한 증거기반 코칭을 실천하고자 효과적 리더십 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조직 효과성 진단(OEA)을 개발했다. 뉴욕 주립대학교(올바니)에서 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은 23년의 코칭 경험과 지식을 담은 『관점 전환(2025)』, 『씽킹 파트너(2024)』 , 『실행력을 높이는 코칭심리학 수업(2024)』, 『현장중심 코칭심리학(2023)』, 『코칭방법론(2020)』, 『떠도는 마음 사용법(2020)』,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2019)』,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2014)』, 『18가..

1. 지금까지 여러 소통 창구를 사용했습니다. 인생 후반에는 중요한 내용을 한 곳에 모으려고 합니다. https://mewemind.com 입니다. ‘내 안에 우리가 있다’는 공동체 의식의 자각을 담았습니다.2. 종이에 ME라고 쓰고 가슴에 대어 보세요. 그리고 밖을 향한 시선을 안에 둡니다. ME를 보면 무엇이 보이나요? 바로 WE가 보이죠. 내 안에 우리가 있습니다. 자기중심의 삶을 사느라 밖에 두던 시선을 거두고 자신의 내면을 향할 때 내가 혼자가 아니었음을 알게 되죠. 자기인식의 확장, 나에서 우리로~ 관점 전환입니다. 3. 개인심리학의 창시자 아들러(Alfred Adler)는 독특성에 따른 개인적 관심에서 사회적 관심으로 의식을 확장하고, 공동체감(community feeling)으로 사회에 기..

삶의 다양성은 곧 사람들이 자신의 고유함을 가치 있게 드러내는 길을 제공하죠. 자신의 고유함에 묶이다 보면 시선이 자기 자신에게만 집중하기 쉽습니다. 달리 말해 그것을 가치 있게 발휘하도록 돕는 환경의 소중함을 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고유함을 발견하고 드러내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심을 갖는 노력도 함께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의 고유함에 사회적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발휘하여 사회적 기여를 하는 것입니다. 나의 고유함뿐만 아니라 사회의 고유함, 우리 문화의 고유함으로 그 시선과 인식을 넓히는 것입니다. 한 예로 K-culture는 바로 우리 문화의 고유함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개인의 고유함을 넘어 사회문화의 고유함으로 의식확장, 우리 삶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