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효과적 리더십진단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 효과성 진단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코칭방법론 공부방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팀 효과성 진단
- 조직코칭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성코칭
-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코칭이란 무엇인가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팀효과성진단
- 원하는 결과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코치올 생각 파트너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방법론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치올
- 이석재 코치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 코칭심리학 공부방
- Today
- Total
목록2023/09 (11)
미위마인드

대형 컨설팅과 코칭 프로젝트를 할 때 퀄리티 콘트롤이 아주 중요했죠. 그래서 제안서와 자기 소개서에 *** 박사라고 표현했습니다. 내 스스로 긴장하고 서비스에 상응하는 퀄리티를 담으려고 했죠. 그러나 잘 해내지 못한 경우도 있었죠. 몇 년 전부터는 *** 코치라고 사용합니다. 코칭 서비스의 근본은 학문이나 직무 전문성보다 인품, 인격이기 때문이죠. 이 상황이 더 어렵더군요. 온전히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니 말이죠. 코치로서 언행일치가 중요하고 삶의 목적과 가치가 일상에 담겨야 하니 말이죠. 존재의 진정성이 중요해졌습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ner.co.kr

추석 연휴에 그동안 작성한 새책의 목차, 3부 12장의 원고를 완전 재구성했죠. 책의 컨셉트는 같지만 독자와의 소통방식에 변화를 주었죠. 처음 구성해 보는 목차에 맞춰 초고를 재배열했습니다. 그 결과, 2부와 3부의 원고 초안은 나왔고 1부는 처음부터 다시 써야 하네요. 일단 커피 한잔 마시고 다시 펜을 들어봐야죠. 9월을 보내며 새판을 다시 짜서 다행이네요. 곧 10월, 이제 새롭게 시작합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ner.co.kr

한국코치협회 캐나다지부 9월 세미나에는 캐나다, 한국, 미국, 싱가포르, 태국 등 여러 나라의 코치님들이 참석했습니다. 줌 채팅창에 올라온 일부 질문과 피드백을 기록으로 남김니다. 160명 등록, 130여명 참가. 줌 질문창에 올린 질문을 답변하지 못해서 후에 개인 페북에 답을 했죠. 상세한 소감을 회신하셨네요. 감동을 준 추석 선물입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코치협회 캐나다지부에서 9월 세미나 안내문이 왔네요. 잘 준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세미나에서 강조할 점입니다. 우리는 개인의 고유한 잠재력을 발휘해 각자가 원하는 삶을 주도적으로 만들어 가고 싶은 열망이 어느 때보다 강렬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전문코치는 이러한 열망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꿈을 실현하도록 도와줍니다. “나는 어떻게 도와주고 있는가? 그들의 꿈을 성공적으로 도와주는 나의 코칭 논리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한 전문코치의 답은 논리적이어야 합니다. 이제 코칭의 과학화를 위해 새로운 시도가 필요합니다. 생각을 다르게 행동도 다르게, 결과도 다르게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전문코치로서 퍼스널 브랜딩과 근원적 경쟁력을 갖추게 됩니다. 나아가서는 증거기반 코칭과 코칭학..

이번 의 출간 이후 실전편으로 연이어서 꼭 쓰고 싶은 책 (가제)의 원고를 쓰다가 잠시 멈추고 한발 뒤로 물러서서 생각해 봅니다. 총 3부 12장이 나오네요. 9월 말까지 원고 초안을 만들자!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thinkingpartner.co.kr

박 코치님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페북에 올렸습니다. "작가를 작가이게 하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나는 궁금한 주제이기도 해서 이렇게 댓글을 달았죠. "창의적으로 책을 쓰는 사람은 책의 저자이면서 작가일 수 있겠네요. 그러나 작가는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예술성’을 작품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창작성’을 발휘한 어떤 저자는 작가일 수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나도 궁금하다.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1979년 교내 학술논문대회에 응모하고(동상), 1981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에 학술논문을 처음 게재한 이후 지금까지 많은 정책연구보고서와 저술, 국내외 학술논문(SSCI) 기고와 발표, 다수의 책 출간을 했죠. 글과는 오랜 친구처럼 지냈지만 나는 '작가'라..

ICF코리아챕터 교육위원회 주관으로 열리는 #북콘서트 #초코. 09.22(금)에는 코치올 대표이자 뉴욕주립대 사회심리학 박사이신 이석재 코치님의 신간 으로 함께 합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구글폼으로 신청해주세요. 구글 신청: https://forms.gle/HrtgKRJaV3NHg5ft5 9월 북콘서트 초코 신청서 주최: ICF Korea Charter Chapter, 주관: 교육위원회 docs.google.com 홈피 댓글: http://www.icfkorea.or.kr/notice/?vid=95 북 콘서트 초코_현장 중심 코칭 심리학_이석재 코치_2023 09 22(금) 20:00~21:30_하단 댓글_구글 양식 신청 https://forms.gle/HrtgKRJaV3NHg5ft5 www.i..

2023년 하반기에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 만들기'에 대한 개인코칭(1:1코칭)을 신규로 개설하였습니다. 개인코칭을 통해 생각 파트너의 코칭 철학과 이론, 코칭방법론 등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나누고 싶습니다. 운영 방식을 고민하다가 개인코칭으로 확정했습니다. 이 주제에 관심 있는 분들의 방문을 환영합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https://thinkingpartner.co.kr/986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 만들기 ●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 만들기 소개 1. 코칭 목표는 이 과정의 최종 결과물인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Coaching Framework)를 만듭니다. 참가자는 생각 파트너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코칭 사례를 thinkingpartne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