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원하는 결과
- 조직 효과성 진단
- 효과성코칭
- 조직코칭
- 효과성코칭워크숍
- 코칭방법론 공부방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팀효과성진단
- 코칭방법론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Ela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상담 사례개념화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칭심리학 책 쓰기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팀 효과성 진단
- 증거기반코칭
-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코칭 워크북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코칭심리학 공부방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효과성 코칭
- 이석재 코치
- Today
- 0
- Total
- 16,294
목록떠도는 마음 사용법 (4)
미위마인드

나의 성장 전략은 무엇인가? 효과성 코칭에서 성장 전략은 '더 나은 나 되기'(become a better self)이다. 성장의 시선을 멀리 두면, 공상이 되기 쉽다. 시선을 과거에 두면, 자기 자신에 대해 평가적이며 닫힌 사고를 한다. 시선을 '지금 여기'에 둔다. 자기 자신에게 질문해 보자. "나는 더 나아지고 있는가?" 자기 자신이 더 나아기지 위해서는 먼저 삶의 목적관리 메트릭스로 원하는 삶을 디자인한다. 목적 없는 삶, 일에 묶인 삶을 경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성 코칭에서 코치는 존재 중심(being)과 실행 중심(doing)의 삶이 균형 잡히고, 존재가 실행을 촉진시키는 삶을 추구한다. 그러나 삶의 목적에 묶이지 말자! 삶의 목적은 방향을 주고 목표는 내용을 준다. 목표는 목적을 이루는 ..

직장 생활에서 거의 매일 경험하는 일 중의 하나는 회의에 참석하는 것이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발굴하기 위한 회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킥오프 kick-off 미팅을 겸한 회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중간 점검을 하는 회의, 프로젝트의 결과를 최종 보고하는 회의 등 다양하다. 사람마다 회의에 대한 느낌이 다르다. 회의를 통해 동료들과 대화를 할 기회를 갖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생산적인 회의를 해야 한다는 면에서는 긴장이 된다. 코칭에서 만난 한 팀장에게 물어보았다. "회의에 대해 어떤 느낌을 갖고 있습니까?" 그는 잠시 생각을 하더니, 미묘한 미소와 얼굴 표정을 지었다. 그는 이어서 자신의 느낌을 간략하게 말했다. "긴장되고 불편합니다." 팀장이라면 그동안 셀 수 없을 만큼의 많은 회의를 했을 것이다...

“저는 떠도는 마음을 즐기는 시간이 기다려집니다.” 떠도는 마음에 대해 어떤 생각이 제일 먼저 떠오르는지를 물었을 때 그가 말한 첫마디였다.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그는 자신만의 시간에 푹 빠져 산다고 했다. 마음이 떠도는 시간을 기다린다는 것에 호기심이 커졌다. 나는 그에게 자기만의 시간을 갖는 것이 어떤 의미를 물어보았다. 그는 초연결사회에서 필요한 사고와 행동방식은 가능한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사업기회를 만들고, 또 다른 사람의 요구에 맞게 자신의 시간을 내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연결망인 스마트폰의 스위치를 꺼 놓을 수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나에게 두 개의 핸드폰을 꺼내서 보여줬다. 처음에는 한 개의 핸드폰을 개인용과 업무용으로 사용했다. 그는 어느 날 하나의 폰으로 ..

욱하는 감정 처리를 하는 이면에는 복잡한 사람의 심리가 있다. 그중에 하나는 상황을 통제하려는 정신 통제이다. 정신을 통제한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면, 주의를 집중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필요한 심리이다. 조직에서 리더 역할을 맡는 사람, 성과 지향적인 사람, 완벽주의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의 내면에는 통제의 심리가 있다. 이러한 심리가 병리적으로 나타난다면, 강박적인 사고가 된다. 통제의 심리학 통제 심리가 강한 사람은 자신이 원하는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목표가 분명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바람직한 모습에 대한 생생한 심상이 있다. 인지적으로 뿐만 아니라 감각적으로 원하는 결과에 대한 모습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사람은 현재 자신의 모습에서 자신이 원하는 결과의 모습을 비교하게 된다. 다시 말해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