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이란 무엇인가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코칭방법론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리더십 정렬
- 효과성코칭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팀 효과성 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조직 효과성 진단
- 증거기반코칭
- Team Effectiveness Assessment
- 자기인식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원하는 결과
- 팀효과성진단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조직코칭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미위마인드
- Ela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코칭방법론의 필요성과 효과적 활용
- 생각나눔과 교학상장
- 조직효과성진단
- Today
- 2
- Total
- 11,943
목록코칭방법론 (10)
미위마인드

● 코칭사례분석 공부방 소개 코칭의 개념, 코칭철학, 코칭대화모델, 코칭스킬을 학습하고 코치자격을 취득했다면 코칭을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코칭을 현장에서 유로로 진행하면서 코치는 비로소 그동안 학습한 코칭지식이 코칭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경험을 합니다. 코칭에 입문하면서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매우 다릅니다. 앎과 실행, 그 간극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까요? 바로 코칭사례분석을 통해 코칭의 현장 적용력과 실행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 코칭사례분석 공부방 일정 과정명 운영 방식 2022년 일정 코칭사례분석 - 참가자에게 주교재인 '코칭사례분석 워크북'을 우편으로 발송 - 강의와 토론, Q&A를 혼용한 방식으로 진행 - 비대면 방식, 줌(Zoom)으로 진행 - 오전 9:00..

지난 2009년에 '팀효과성진단(TEA)', 2011년에 '조직효과성진단(OEA)'을 개발했습니다.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코칭은 주로 개인코칭이었지요. 진단은 '효과적 리더십진단(ELA)'을 개발해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운명처럼 한 고객사를 만나죠. 코칭은 약 8년간 지속되었습니다. 장기간 코칭하면서 얻는 가장 큰 이점은 바로 코칭의 영향력을 체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팀과 팀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죠. 사업부장을 코칭하면서 그의 리더십이 사업부, 소속 팀과 개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습니다. 어떤 고객사에는 사업부장과 소속 팀장들을 함께 코칭했습니다. 이를 통해 리더 개인의 변화가 그가 책임 맡는 조직 단위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조직개발 주제와..

지난 2012년 12월 20일 오후 7:00~8:00에 한국코치협회에서 진행했던 '코칭방법론의 필요성과 효과적 활용' 세미나에 대한 피드백을 일부 기록으로 보관합니다. 페이스북이나 카톡 등으로 공유된 내용입니다. 총 360명 신청, 300명이 줌에 참석했습니다. 1. 어제 코치들에게 딱 필요한 증거기반 코칭을 위한 나만의 코칭프레임과 방법론 공유 나눔 참 좋았습니다. 2. 코칭은 과학이다~ 내 안에 우리 있다~ 어제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3. 코치님 어제 넘멋진강의 잘 들었습니다. 새내기 코치가 배워야 할 것이 너무 많네요ᆢ 4. 코칭이 과학으로 코칭학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 정당한 주장입니다. 공감합니다~ 5. 어제 늦게 마지막 부분만 참석했었는데, 아쉬웠습니다. 코칭은 과학이다라는 말씀에..

해결중심 단기치료를 창시한 인물의 한 사람인 Insoo Kim Berg가 공저한 Brief Coaching for Lasting Solutions 책을 읽다보면, 책의 제목처럼 코칭과 심리치료의 경계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저자는 책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This book is written for coaching practioners who want to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however small, who want to be effective while being respectful of what the client brings to the table, and who want to work with important resources that client..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해 지금까지 추구한 코칭의 매듭을 상기해 봅니다. 그간 출간한 책들 중에서 '생각의 변화'를 담은 대표적인 책은 3권입니다. 코치로서 내 삶의 절정은 2014년입니다. 코치로서 해보고 싶었던 '통합적 코칭 설계’에 따른 코칭을 모두 실행해 보았기 때문이죠. 그 이후에도 여러 변형이 있었지만, 코치로서 가장 뜨거운 삶을 살았던 시기네요. 도움을 주신 분들께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석박사 학위를 하면서 공통적으로 다룬 연구 주제는 신념을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태도, 고정관념, 규범 등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심리기제로 사람들의 공격적 행동, 약물 중독, 아동 폭력, 학교 폭력, 가정 폭력, 성범죄 등의 사회 문제를 풀려고 했지요. 지금은 코칭을 하면서 리더의 행동변화를 다루죠. 효과성 코칭을 통해 내 열망의 일부를 펼쳐 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어제는 총 10차 진행한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을 마쳤네요. 참가자 중에 공부방에서 소개된 사례를 토대로 개인코칭을 팀코칭이나 조직코칭으로 연계하는 시도를 하는 분도 있고, 대학강의 프로그램을 증거기반코칭 프레임워크을 토대로 사용하는 분도 있어서 반가웠습니다. 앞으로 많은 분들이 증거기반코칭 접근을 통해 기존의 코칭 활동을 확대시키길 바랍니다.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2기는 10월 18일(월)부터 시작하죠. 이번 주 코칭심리학 공부방에서는 행동변화모델을 다룹니다. 행동변화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시간입니다. 9월에 진행하는 개인코칭, 효과성코칭워크숍, 새로 개설하는 과정들이 모두 잘 진행되길 바래 봅니다. 폭염은 간데 없고 이제 본격적으로 가을입니다. -미위마인드,..

이제 2021년 8월의 마지막 주입니다. 총 10회로 진행되는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공부방도 31일이 최종회이죠. 이 공부방을 만든 목적과 구성 배경이 떠오르네요. 코치로 활동하면서 효과성 코칭과 코칭방법론을 개발했고, 효과성 코칭방법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효과적 리더십진단(ELA), 팀 효과성 진단(TEA), 조직 효과성 진단(OEA) 등 3개의 온라인 진단도구를 개발했습니다. 코칭방법론을 적용한 증거기반코칭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도구이죠. 내일 나눌 대화를 상상하면서 문득 처음 코칭을 시작한 계기와 어제의 일까지 지난 일들이 파노라마로 펼쳐집니다. 코치 자격도 취득하고 코칭 비즈니스도 잘 해야죠. 전문코치로 활동하려고 할 때 필요한 것은 ‘전문성’입니다. 전문성의 기본은 ‘코칭방법론’입니다.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