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치올 생각 파트너
- 효과성코칭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코치올 생각 파트너 이석재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팀 효과성 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 디브리핑
- 원하는 결과
- 코치올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증거기반코칭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코칭이란 무엇인가
- 코칭심리학
- 조직효과성진단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이석재 코치
- 효과성코칭워크숍
- 효과성 코칭
- 팀효과성진단
- 효과적 리더십진단
- 조직 효과성 진단
- 코칭방법론
- 조직코칭
- Today
- Total
목록효과성코칭 (7)
미위마인드

올해 응원과 격려 덕분에 잘 마무리합니다.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계묘년 새해에 평온과 행복, 건강 누리시기 바랍니다.

이론과 현장코칭의 연계, 코치로 활동하면서 논리 틀을 구축하려는 주제이죠. (1) 이론으로서 코칭심리학- (2) 이론과 현장을 연계시키는 접근 논리이며 전략으로서 코칭방법론- (3) 코치로서 연구하고 실천한 코칭과 코칭방법론의 사례인 효과성 코칭- (4) 실행한 코칭사례를 경험과학적으로 검증하는 증거기반코칭 말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만큼 4가지 주제 영역을 충실하게 채우는 것이 남은 과제입니다. -코치올 생각 파트너 mewemind.com/6

이론과 현장코칭이 연계되기 위해서는 상호의존적인 논리관계에 있는 4가지 전문영역을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간 '코칭심리학-코칭방법론-효과성코칭-증거기반코칭' 공부방에서 사용한 워크북은 '코칭방법론' 책을 집필하는데 백본이다. 코칭이 전문영역으로 발전하려면 코칭방법론이 정립되어야 한다. 코칭이 전문영역으로 발전하려면 코칭방법론이 정립되어야 한다. 코칭방법론이 그 중심에 있다. 워크북의 내용을 필요한 만큼 참고하자. 새 책의 목차 구성은 2020년 출간한 코칭방법론과 달라야 한다. 2023년에 출간하려는 코칭방법론의 목차를 통합적 관점에서 작성하자. 새 책은 코칭에 입문하거나 현재 코치로 활동하면서 코칭방법론을 알고 싶은 분들에게 유익한 책이 될 것이다. 또 코칭관련 대학원생, HR전문가들도 읽고..

2022년 9월까지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명을 마지막으로 사용하고, 이후부터는 '효과성코칭' 과정명을 사용하죠. 지난 8년간 과정에서 만난 분들에게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그렇다고 과정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국내에 코칭이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국내 코칭환경과 코칭에 대한 요구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전파하기 위해 '효과성코칭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 과정을 만들어 2015년 1월부터 시작했습니다. 이제는 코칭 환경 변화와 다양한 코칭 요구에 맞게 대응하고자 기존의 과정을 3개의 과정으로 세분화하고 내용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1.효과성코칭 효과성코칭을 활용한 개인코칭과 조직코칭을 다룸. 리더 개인코칭을 통한 개인개발(ID)과 조직개..

지금까지 진행했던 코칭심리학, 코칭방법론, 효과성코칭, 증거기반코칭에 대한 내용과 진행방식을 조금 바꿔보려고 합니다. 연말에는 2023년의 계획을 확정할 것입니다. -mewemind.com

오늘(9/24)로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명을 마지막으로 사용하고, 내일부터는 '효과성코칭' 과정명을 사용하죠. 지난 8년간 과정에서 만난 분들에게 관심과 참여에 감사드립니다. 그렇다고 과정이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국내에 코칭이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습니다. 국내 코칭환경과 코칭에 대한 요구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전파하기 위해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을 만들어 2015년부터 시작했죠. 이제는 코칭 환경 변화와 다양한 코칭 요구에 맞게 대응하고자 기존의 과정을 3개의 과정으로 세분화하고 내용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2014년에 출간한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을 전파하기 위해 '효과성코칭워크숍' 과정을 만들어 2015년부터 시작했죠. 이제는 코칭 환..

50대에 일중심의 삶을 살았다. 아침 8시에 임원코칭을 시작해 오전에 2번의 코칭미팅, 오후에 3~4번의 코칭 미팅을 가졌다. 새벽 기차와 비행기를 즐겼다. 강의와 과정개발로 촌각을 다투었다. 주위 분들이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분들의 도움 덕에 많은 일을 할 수 있었다. 정신없이 일하던 어느 날 코칭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계기가 된 실수를 했다. 그때부터 코칭에 집중하기 위해 코칭 이외의 활동을 단계적으로 손 놓았다. 핵심인재 선발과 육성, 민간과 공공기관 면접위원 활동, 과정개발워크숍, 인재채용모델개발과 적용, 조직문화 진단과 조직개발, 리더십진단도구개발 프로젝트, 역량모델링, 교육체계수립워크숍 등을 모두 손 놓았다. 오직 코칭과 진단, 두 가지만 남겨두었다. 그러나 마음속에서 수입이 좋은 H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