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코칭방법론
- 코칭방법론의 필요성과 효과적 활용
- 효과성 코칭 워크숍
- 경영심리학자의 효과성 코칭
- Team Effectiveness Assessment
- 효과적 리더십 진단
- 변화요구
- 코칭심리학 공부방
- 코칭방법론 공부방
- 코칭이란 무엇인가
- 생각나눔과 교학상장
- 리더십 정렬
- Ela
- 증거기반코칭
- 팀 효과성 진단
- 증거기반코칭 사례분석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조직 효과성 진단
- 팀장 그룹코칭 공부방
- 조직효과성진단
- 효과성코칭워크숍
- 미위마인드
- 팀효과성진단
- 조직코칭
- 자기인식
- 떠도는 마음 사용법
- 증거기반코칭 공부방
- 효과성 코칭
- 효과성 코칭 방법론
- Effective Leadership Assessment
- Today
- 3
- Total
- 10,784
목록전체 글 (118)
미위마인드

지난 2015년 개인-팀-조직의 효과성을 진단하고 연계하여 시스템적이며 통합적 접근을 취하는 효과성 코칭 워크숍(개인코칭, 조직코칭)을 개설했습니다. 그 이후 2022년 현재까지 3개의 공부방(이론-방법론-실증)을 추가했습니다. 모두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죠. 또 전문코치로 활동하는 분들이 ‘나만의 코칭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코칭 고객에게 더 체계화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길 바랍니다. 덤으로 코치의 차별적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코칭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26

코칭은 아직 코칭이론을 가지고 있지 못하죠. 코칭이론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면 주로 인접 학문에서 개발된 이론을 토대로 코칭을 보는 수준입니다. 이러한 연역적 접근으로는 코칭의 고유한 차별성을 찾아내기 어렵지요. 코칭이 전문성을 키우려면 코칭이 일어나고 있는 코칭 현장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귀납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죠. 코칭심리학은 코칭을 보는 '논리 틀'에 대한 정보를 줍니다. 코칭심리학을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와 관련된 이론이 아닌 다른 심리학적 접근과 이론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죠. 예를 들면 발달심리, 조직심리, 학습심리, 사회심리, 문화심리, 인지심리, 지각심리 등이죠. 상담이론이나 심리치료이론의 틀에 묶이지 말아야 합니다. 그 분야의 이론을 바..

2월 18일(금)과 19일(토), 9:00~17:30 코칭심리학 공부방을 진행합니다. 다음과 같이 생각하십니까? ‘코칭을 하면 할수록 어렵다’, 오랫동안 했지만, 지나고 보니 무엇을 했는지 모르겠다', ‘코칭고객 마다 코칭 이슈가 달라 대응하기 어렵다’, ‘코칭이론을 알아야 하나?’, ‘체계적으로 코칭을 공부하고 싶다.’ 코칭심리학을 통해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만들기 위한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 봅니다. 코칭이란 무엇인가? 나는 어떤 코칭을 전개하는가? 성공적인 코칭의 작동원리는 무엇인가? 그 원리가 내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내가 경험한 통찰은 무엇인가? 코칭심리학은 내게 어떤 시사점을 주는가? 통찰과 시사점을 종합해 볼 때 나는 어떤 코칭을 하는 전문가인가? 그 논리 틀은 무엇인가? 생각과 코칭 ..

지금의 삶을 누리는 것은 누구의 덕인가? 남편 덕인가 아니면 아내 덕인가? 어느 한쪽의 덕이 아니라 부부가 만들어가는 ‘우리’의 덕입니다. “우리는 어디에 있습니까?” 우리(we)는 나(me)를 들여다보며 탐구하는 그곳에 있습니다. 내 안에 우리가 있습니다. 사랑은 내 안의 우리를 느끼고 끄집어내어 그 느낌의 내용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입니다. 나보다 우리를 택할 때 새로운 관점을 갖게 되죠. 부부애는 대표적인 미위마인드의 실천입니다. 미위마인드(mewemind)는 ‘내 안에 우리가 있다는 공동체 의식을 키우는 생각나눔과 교학상장의 공간입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 미위마인드 MEWEMIND는 '내 안에 우리가 있다'는 공동체 의식을 토대로 생각을 나..

이번 주 21일(금)과 22일(토)에 9:00~17:50 진행하는 ‘코칭방법론 공부방’에서는 코칭방법론에 기초하여 step-by-step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갖도록 돕습니다. 전문코치로서의 정체성은 바로 “나는 어떤 코칭을 하는 전문가인가?”에 대한 답이죠. 나만의 코칭프레임워크를 통해 코치가 전문코치로서 자기정체성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https://mewemind.com/86 코칭방법론 공부방 등록 ● 코칭방법론 공부방 소개 1. 글로벌 차원에서 보면 지금은 코칭방법론 시대입니다. 코치가 사용하는 코칭 접근이 검증되기 위해서는 코칭 방법론이 필요합니다. 코칭 방법론은 코칭 이슈에 mewemind.com 출처: https://coachall.tistory.com/8..

지난 2015년 1월 30일에 제10회 창조코칭포람에세 '강점의 발견과 효과적 활용'을 주제로 특강을 했습니다. 강의 일부 내용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찾았습니다. 열띤 토론도 추억이고 벌써 햇수로 7년 전의 일이네요. -미위마인드, 생각 파트너 이석재

유튜브를 보니 지난 2019년에 출간한 '내 삶을 바꾸는 생각 혁명' 책을 소개하는 오디오북 자료가 있군요. 책의 핵심 내용을 발췌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n6hE62dX4o

기존의 학술이론을 기반으로 코칭을 한다고 해서 그 코칭이 증거기반은 아닙니다. 현재 하고 있는 코칭이 증거기반이어야 합니다. 이론은 현상 속에 존재하는 개념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진술이죠. 이론을 정립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수행합니다. 연구를 통해 논리적 관계가 검증되면, 그 결과를 토대로 현상을 해석하고 예측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연구를 통해 보려는 현상입니다. 상담과 심리치료 관련 이론이 주목하는 사회 현상은 코칭과 같은 것일까요? 아니면 다른 것일까요? 만일 같다고 본다면, 코칭은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같은 범주에 속하는 전문영역이죠. 이러한 관점을 취한다면, 코칭이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차별성이 무엇인지를 찾아야 합니다. 그러나 코칭이 주목하는 사회 현상이 상담과 심리치료와 다르다면, 코칭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