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효과성 코칭이론
- 관점 코칭점
- 코칭 프레임워크
- 관점 전환 6단계 프로세스
- 관점 코칭
- 삶의 새 판 짜기
- 결정적 관점
- 원하는 결과
- 생각 파트너 이석재
- 삶의 개선에 집중하는 관점 코칭
- 미위마인드 mewemind.com
- 결정적 관점 코칭
- 삶의 맥락
- 효과성 프레임워크
- 효과성 코칭의 이론과 실제
- 관점 전환을 돕는 6단계 프로세스
- 생각 파트너 이석재각
- 이종서 코치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 증거기반 코칭
- 이종서
- 관점 전환
- 결정적 관점 전환
- 효과성 코칭
- 씽킹 파트너
- 조직효과성진단(OEA)
- 정신 모형
- 팀효과성 진단(TEA)
- 코치올
- 미위마인드 이석재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9)
미위마인드
1. 효과성 코칭(Effectiveness Coaching)은 "사람들은 삶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을 높이는 효과성을 추구한다"라고 가정합니다. 생각 파트너는 효과성 프레임워크(Effectiveness Framework)를 토대로 효과성 진단을 활용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합니다. 여기서 효과성은 원하는 결과를 얻는 정도를 뜻합니다.2. 지난 2002년 코칭에 입문해서 지금까지 개발해온 결과물입니다. 정리는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한 현실 인식과 성찰, 포지셔닝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죠. ● 결과를 만드는 코칭코칭 대상자가 결정적 행동을 실천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코칭합니다. 효과성 코칭은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주도적이며 적극적으로 구성하려는 동기를 갖는다'는 가정에 근거합니다. 효과성 코..
1.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은 기존 코칭심리학의 관점이 아닌, 코칭 현장의 경험과 실제 사례를 토대로 코칭심리학을 탐구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코칭 현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코칭 현상에 내재한 보편적인 작동 원리와 논리 틀을 지속적으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또한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돕는 결과지향 코칭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증거기반 코칭을 전개해 보십시오. 2. 지난 2023년 출간한 에서 밝힌 결과지향 코칭 프레임워크의 3가지 요소를 효과성 코칭의 시각에서 재구성한 도서를 출간하는 계획을 마칩니다. 총 2년 2개월이 경과했네요. 시리즈에 관심 있는 분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더불어 시리즈 집필을 희망하는 분의 상담을 환영합니다.-미위마인드 mewemind.com
1. 다음 주말이면 인터넷 서점에서 예약 판매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이에 간단한 출간 소감을 먼저 씁니다. 관점에 대한 공부는 대학교 때 학문적 스승이신 지도 교수의 조망(관점, perspective) 형성과 심리 기제에 대한 연구를 보조하며 처음 접했습니다. 이후 지금까지 주된 탐구 주제가 되었죠.2. 관점 전환은 자기주도적으로 할 수 있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생각 파트너는 전문코치이며 사회심리학자로서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심리기제를 연구해 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관점 취하기와 관점 전환 등의 기존 연구를 효과성 코칭(이석재, 2014)의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6단계 관점 전환 프로세스를 개발했습니다.3. 이 과정에서 기존의 관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하는 ..
네덜란드가 1유로에 18대의 F-16을 루마니아에게 제공했다. 이는 함께 싸운다는 나토의 집단적 메시지이다. 또 ‘나에서 우리로’라는 공동체 의식인 mewemind와 관점 전환 사례이다.-mewemind.com 이석재
1. 책쓰기에 관점 전환을 적용한 사례는 (이석재, 2023)입니다.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코칭이 아니라 현장중심으로 코칭 관점에서 본 코칭심리학입니다.2.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은 기존 코칭심리학의 관점이 아닌, 코칭 현장의 경험과 실제 사례를 토대로 코칭과 심리학을 탐구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 귀납적인 접근입니다. 따라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을 코칭방법론에 기초한 독립 영역으로 정립하고자 코칭심리학의 이론들을 코칭 시각에서 분석했습니다.3. 또 개인과 조직의 성장을 돕는 결과지향 코칭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코칭 현장에서 증거기반 코칭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코칭 현장에서 '코칭 현상'에 담긴 보편적인 작동 원리와 논리 틀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mewemind.com 이석재